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내진설계 개념 (내진, 면진, 제진)
    토목구조물 2025. 3. 13. 22:33
    반응형

    내진설계의 이해: 내진, 면진, 제진의 개념과 적용 사례

    지진은 순식간에 엄청난 에너지를 방출해 교량, 터널, 댐, 고가도로와 같은 토목 인프라에 치명적인 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토목 구조물에도 내진설계(Seismic Design)가 필수적으로 적용됩니다. 내진설계는 크게 내진(耐震, Seismic Resistance), 면진(免震, Seismic Isolation), 제진(制震, Seismic Control) 세 가지로 나뉘며, 각 방식은 지진의 영향에 대응하는 고유한 전략을 가집니다. 이번 글에서는 토목 구조물을 중심으로 이 설계 기법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한국의 KDS 14 20 00 및 ACI 318 기준과 연계해 실무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을 정리하겠습니다.

    제진장치
    타이베이101 빌딩과 제진장치

    1. 내진 설계(Seismic Resistance Design)

    내진 설계는 구조물이 지진력에 직접 저항하도록 강도와 연성을 극대화하는 설계 기법입니다. 지진 하중에 맞서 구조물이 붕괴하지 않고 일정 수준의 변형을 허용하면서도 복원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내진 설계는 특히 지반과 일체화된 구조물(예: 교량, 댐, 터널)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1-1. 내진 설계의 핵심 요소

    • 강성(Stiffness): 구조물의 초기 변형 저항 능력
    • 강도(Strength): 지진 하중에 대한 구조물의 최대 저항 능력
    • 연성(Ductility): 구조물이 파괴되기 전에 변형을 허용하는 능력

    1-2. 주요 설계 전략

    • 교량 기둥의 소성 힌지 설계: 지진 시 에너지를 흡수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소성 변형이 발생하도록 설계
    • 심부구속 철근 배근: 기둥의 횡철근을 조밀하게 배치해 연성파괴 유도
    • 건축물의 전단벽 시스템: 고층 건물의 횡력 저항을 강화하기 위해 전단벽을 배채

    1-3. 실제 적용 사례

    • 인천대교: 주탑에 고강도 콘크리트와 구속 철근을 적용해 내진 성능 극대화
    • 롯데월드타워: 코어월 시스템과 이중 프레임 구조로 내진 성능 강화

    1-4. 관련 설계 기준

    • KDS 14 20 00: 내진 설계 상세 규정, 소성 힌지 구역의 철근 배근 기준
    • ACI 318: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내진 상세 및 연성 설계 기준

     

    2. 면진 설계(Seismic Isolation Design)

    면진 설계는 지진의 진동 에너지를 구조물에 직접 전달하지 않고, 면진 장치가 이를 차단하거나 변형해 지진 하중을 감소시키는 설계 방식입니다. 주로 고가교, 대형 터널 입구, 항만 구조물 등에서 사용됩니다.

     

    2-1. 면진 설계의 핵심 요소

    • 탄성 고무 베어링(Elastomeric Bearing): 수직 하중을 지지하면서 수평 방향으로 큰 변위를 허용
    • 납충전 고무 베어링(LRB): 납 코어가 추가된 고무 베어링으로, 지진 에너지를 흡수하면서 복원력 제공

    2-2. 주요 설계 전략

    • 교좌장치에 면진 베어링 설치: 지진파가 구조물에 전달되기 전에 면진 베어링에서 감쇠

    2-3. 실제 적용 사례

    • 광양항 대교: 교좌장치에 LRB 설치로 지진 시 구조물의 응답 감소
    • 일본 국립병원: 면진 베어링을 바닥에 설치해 의료 기기의 지진 피해 방지

    2-4. 관련 설계 기준

    • KDS 14 20 00: 면진 장치의 성능 검증 및 최대 변위량 검토 규정
    • ACI 318: 면진 설비의 내구성 및 장기 성능 평가 기준

     

    3. 제진 설계(Seismic Control Design)

    제진 설계는 구조물 내부에 감쇠 장치를 설치해 지진으로 인한 진동 에너지를 흡수하거나 소산시키는 설계 방식입니다. 특히 장대 교량, 고속철도 구조물, 대심도 터널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3-1. 제진 설계의 핵심 요소

    • 댐퍼(Damper): 구조물의 운동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변환해 진동 감쇠
    • 조율질량 감쇠기(TMD): 구조물의 진동 주파수에 맞춰 설치해 진동 저감

    3-2. 실제 적용 사례

    • 고베 아카시해협 대교: 교량 주탑에 유압 댐퍼 설치로 지진 및 풍하중 대응
    • 타이베이 101: 건물 상부에 대형 TMD 설치로 진동 저감

     

    4. 결 론

    구조물의 지진에 대한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내진, 면진, 제진 설계는 각각의 장점을 극대화해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적용되어야 합니다. 교량이나 고가도로와 같이 높은 유연성과 강성을 동시에 요구하는 구조물은 면진과 제진 설계를 복합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반면, 지반과 일체화된 터널이나 댐의 경우 강도와 연성을 강화하는 내진 설계가 핵심이 됩니다. 국내외 다양한 지진 피해 사례에서 보듯, 내진 설계의 적절한 적용은 단순한 선택이 아닌 필수 조건입니다. 최신 설계 기준을 철저히 준수하고, 지진 공학의 발전에 맞춰 설계 기법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엔지니어의 중요한 역할이라 할 수 있습니다. 오늘 이 시간에는 내진설계의 기본 개념과 내진, 면진, 제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