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소성힌지
-
조밀단면, 비조밀단면, 세장단면토목구조 2025. 4. 6. 09:17
강구조에서 조밀단면(compact section), 비조밀단면(non-compact section), 세장단면(slender section)은 단면의 좌굴(국부좌굴, local buckling) 특성을 기준으로 분류됩니다. 이러한 분류는 구조 설계에서 부재의 거동을 평가하고 설계 기준을 적용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1. 강구조 단면의 분류 기준강구조 부재는 압축력과 휨을 받을 때 국부좌굴(local buckling)로 인해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단면의 판요소(플랜지 및 웨브)의 폭-두께 비(폭 두께비, width-to-thickness ratio)를 기준으로 단면을 조밀단면, 비조밀단면, 세장단면으로 구분합니다.이러한 구분은 국내의 강구조 설계기준(KDS 14 31 10, 강구조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