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산화
-
콘크리트 구조물의 탄산화토목구조/철근 콘크리트(RC) 2025. 5. 1. 15:25
1.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서 탄산화란 무엇인가?1.1 탄산화의 정의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은 구조적 안전성과 내구성을 동시에 만족시켜야 합니다. 그러나 구조물의 사용 기간이 길어질수록 외부 환경과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콘크리트 내부에서 다양한 열화 현상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 중 대표적인 열화 메커니즘 중 하나가 바로 ‘탄산화(Carbonation)’입니다.탄산화란 콘크리트 속의 수산화칼슘(Ca(OH)₂)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CO₂)와 반응하여 탄산칼슘(CaCO₃)을 생성하는 화학반응을 의미합니다. 이 과정은 외부 공기 중의 CO₂가 콘크리트의 기공을 따라 내부로 침투하면서 시작되며, 침투한 이산화탄소는 수분을 매개로 수산화칼슘과 반응합니다. 이 반응이 진행되면서 콘크리트의 알칼리성(pH 12~13)이 점차..
-
철근 부식과 콘크리트 열화 현상에 대한 유지관리 방안토목구조 2025. 3. 27. 10:10
철근의 부식과 콘크리트의 열화 현상은 구조물의 내구성 및 안전성을 크게 저하 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예방적 유지관리와 적절한 보수 방법을 적용하여 철근의 부식 및 콘크리트의 열화를 효율적으로 관리해야 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철근의 부식과 콘크리트의 열화현상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1. 철근 부식과 콘크리트 열화의 원인(1) 철근 부식의 원인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철근 부식은 가장 심각한 내구성 저하 문제 중 하나입니다. 주요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염화물 침투 : 해안 지역이나 제설제로 인해 콘크리트 내부에 염화물이 침투하여 철근이 부식됩니다.탄산화(Carbonation) : 공기 중의 이산화탄소(CO₂)가 콘크리트 내부로 확산되면서 pH가 낮아지고, 철근의 부동태피막이 파괴되어 부식이 촉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