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목구조/강구조
-
강구조에서 용접이음의 모든 것토목구조/강구조 2025. 5. 13. 09:21
강구조물을 설계하거나 시공하다 보면 빼놓을 수 없는 요소가 바로 ‘용접이음’입니다. 강재를 연결하는 방식에는 볼트이음이나 리벳이음 등이 있지만, 현대의 대부분의 강구조물에서는 효율성과 시공성 측면에서 용접이음이 핵심적인 연결 방식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특히 건축구조물뿐만 아니라 교량, 플랜트, 항만시설 등 대형 토목구조물에서도 용접이음의 역할은 점점 확대되고 있습니다.하지만 용접이음은 단순한 연결 기술이 아닙니다. 결함에 민감하고 시공 품질에 따라 성능이 좌우되는 복잡한 공정이기 때문에 구조기술자나 시공관리자 입장에서는 그 특성과 주의사항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용접이음의 특징과 장단점, 주요 종류, 용접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결함, 그리고 설계기준에서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
강구조물에 사용되는 강재의 종류와 특징토목구조/강구조 2025. 4. 8. 09:58
1.서 론강재는 높은 강도, 연성, 그리고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는 뛰어난 가공성 덕분에 구조 공학 분야에서 핵심적인 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건축, 교량, 플랜트 등 다양한 건설 분야에서 강구조물의 중요성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구조물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사용되는 강재의 종류와 특성, 그리고 이를 규정하는 설계 기준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필수적입니다.이번 시간에는 현재 강구조물에 사용되는 주요 강재의 종류를 분류하고, 각 강재별 주요 특징인 항복 강도, 인장 강도, 연신율, 화학 성분 등을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또한, 현재 국내 강구조 설계 기준인 KDS 14 30 00 (허용응력설계법)과 KDS 14 31 00 (하중저항계수설계법)의 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