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강구조에서 용접이음의 모든 것
    토목구조/강구조 2025. 5. 13. 09:21
    반응형

    강구조물을 설계하거나 시공하다 보면 빼놓을 수 없는 요소가 바로 ‘용접이음’입니다. 강재를 연결하는 방식에는 볼트이음이나 리벳이음 등이 있지만, 현대의 대부분의 강구조물에서는 효율성과 시공성 측면에서 용접이음이 핵심적인 연결 방식으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특히 건축구조물뿐만 아니라 교량, 플랜트, 항만시설 등 대형 토목구조물에서도 용접이음의 역할은 점점 확대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용접이음은 단순한 연결 기술이 아닙니다. 결함에 민감하고 시공 품질에 따라 성능이 좌우되는 복잡한 공정이기 때문에 구조기술자나 시공관리자 입장에서는 그 특성과 주의사항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용접이음의 특징과 장단점, 주요 종류, 용접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결함, 그리고 설계기준에서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까지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용접이음의 특징과 장단점

    용접이음

    1.1 용접이음의 특징

    용접이음은 두 개 이상의 강재 부재를 열을 이용하여 금속이 녹아 서로 접합되도록 만드는 방법입니다. 기본적으로는 강재의 모재와 용재가 녹아 융합(Fusion) 되는 방식으로, 이음부에 별도의 구멍을 만들 필요가 없고 구조적으로도 연속성이 우수합니다.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강재 간의 연속적인 연결 : 볼트나 리벳과는 달리 이음부가 하나의 부재처럼 작용
    • 이음부 두께 조절 가능 : 부재의 두께 및 하중에 따라 용접부 크기 조절 가능
    • 자동화 시공 가능 : 로봇 용접이나 자동용접 시스템 활용 가능

     

    1.2 용접이음의 장점

    용접이음은 다음과 같은 장점 때문에 강구조물의 대표적인 이음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1) 높은 강도 및 연속성
    이음부에 별도의 구멍을 내지 않기 때문에 단면 손실이 없고, 응력 전달이 원활합니다.

     

    2) 부재 경량화 가능
    리벳이나 볼트 등 기계적 이음보다 부재 두께를 줄일 수 있어 경량화에 유리합니다.

     

    3) 미관 우수
    이음부가 외관상 드러나지 않아 미관적으로 유리하며, 특히 건축분야에서 선호됩니다.

     

    4) 자동화 용이
    반복 작업 시 기계 자동화를 통한 생산성 향상이 가능합니다.

     

    1.3 용접이음의 단점

    하지만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닙니다. 아래와 같은 단점도 분명 존재합니다.

    1) 시공 품질에 따라 성능 편차 큼
    작업자의 숙련도, 기후, 현장 환경 등에 따라 결함 발생 가능성 높음

     

    2) 열영향부 약화
    고온에 의한 재질 변화로 인장강도, 인성 저하 가능

     

    3) 비파괴검사 필요
    내부 결함 여부를 확인하려면 초음파검사(UT), 방사선검사(RT) 등의 비파괴검사 필요

     

    4) 현장 시공 시 위험성 존재

    고온 작업으로 인해 화재 및 안전사고 위험 증가


    2. 용접이음의 종류

    용접이음은 적용 부위, 구조 형태, 하중 방향 등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구분됩니다. 대표적인 방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2.1 용접의 이음 방식에 따른 분류

    1) 맞댐용접(Butt Welding)

    • 맞댐용접은 접합재를 동일평면으로 유지하며 그 끝을 적당한 모양 또는 각도로 가공하여 용접살을 개선부(Groove)에 채워넣는 용접방식
    • 두 부재의 단면을 서로 밀착시켜 용접하는 방식입니다. 구조적인 연속성이 가장 우수하며 주로 인장 및 압축 하중이 걸리는 부재에 사용됩니다.

    2) 필릿용접(Fillet Welding)

    • 부재의 끝을 깍아내지 않고 부재와 부재의 교차선을 따라 등변 또는 부등변 삼각형 모양으로 용접살을 덧붙여서 용접하는 방식임.

    3) 겹치기이음(Lap Welding)

    • 한 부재를 다른 부재 위에 겹치고 그 겹친 부분을 용접하는 방식입니다. 주로 박판이나 얇은 부재에 사용되며, 응력 집중을 고려해야 합니다.

     

    2.2 용접의 침투 정도에 따른 분류

    1) 완전용입(Full Penetration)

    • 모재 전체 두께까지 용입이 이루어진 방식으로, 높은 강도와 신뢰도를 요구하는 부위에 사용됩니다.

    2) 부분용입(Partial Penetration)

    • 모재 두께 일부만 용입된 방식으로, 비용 절감이 가능하지만 구조 안전성 평가가 필요합니다.

    3. 용접부 결함의 종류

    용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다양한 결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결함은 구조물의 내구성과 안전성을 저해할 수 있는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3.1 내부결함

    1) 슬래그 포함(Slag Inclusion)
    용접 시 생긴 불순물이 제거되지 않고 용착금속 내에 남아있는 현상입니다.

     

    2) 기공(Porosity)
    가스가 빠져나가지 못하고 용접부 내에 기포 형태로 남아 발생하는 결함입니다.

     

    3) 용입 부족(Lack of Fusion/Penetration)
    용접 금속과 모재 간의 완전한 결합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구조적 강도가 저하됩니다.

     

    3.2 외부결함

    1) 언더컷(Undercut)
    용접부 주변 모재가 과도하게 녹아 홈처럼 패인 상태로, 응력 집중을 유발합니다.

     

    2) 균열(Crack)
    열팽창과 수축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으며, 즉시 보수 대상입니다.

     

    3) 오버랩(Overlap)

    용착금속이 모재 위에 얹혀만 있고 융합되지 않은 상태로, 외관상 확인 가능한 결함입니다.


    4. 용접이음 관련 설계기준

    용접이음 관련 기준

     

    국내 강구조 설계는 「강구조 설계기준(KDS 14 31 00)」에 따라 이루어지며, 이 기준에서는 용접이음에 대해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4.1 설계강도 산정

    용접부의 설계강도  $\phi R_{n}$은 모재강도와 용접재강도 중 작은 값으로 한다. 용접이음의 설계 시 필릿용접 및 맞대기용접에 대한 설계강도는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 \phi R_{n} = \phi F_{w}A_{w} $$

     

    여기서,

    $A_{w}$ : 용접유효면적 ($mm^{2}$)

    $F_{w}$ : 용접재의 공칭강도 ($N/mm^{2}$)

     

    1) 필릿용접의 유효목두께 및 유효길이에 따라 설계강도 산정

    • 필릿용접의 유효면적은 용접유효길이에 유효목두께를 곱한 것
    • 용접유효길이는 필릿용접의 총길이에서 필릿사이즈의 2배를 공제
    • 유효목두께는 필릿사이즈의 0.7배로 함

     

    2) 맞대기용접(그루브용접)

    • 맞대기 용접의 유효면적은 용접유효길이에 유효목두께를 곱한것
    • 용접유효길이는 축에 직각인 접합부분의 폭
    • 완전용입된 맞대기용접의 유효목두께는 접한판 중 얇은 쪽의 판두께로 함.

    4.2 유효길이 및 치수 기준

    • 용접부의 최소 유효길이는 이음 형식에 따라 기준에 제시
    • 필릿용접의 유효목두께는 용접강재의 두께 및 응력에 따라 산정

    4.3 결함 허용 기준

    • 용접 후 비파괴검사 결과에 따라 허용 가능한 결함의 크기와 종류 규정
    • 결함이 기준을 초과할 경우 재용접 또는 보수 조치 시행

    4.4 검사 및 품질관리

    • 구조적 중요 부위는 초음파검사(UT) 또는 방사선검사(RT)를 통한 비파괴검사 실시
    • 일반 부위는 육안검사 및 자분탐상검사(MT) 등으로 품질 확인

    5. 맺음말

    용접이음은 강구조물의 연결부를 형성하는 핵심적인 기술입니다. 시공성과 경제성, 구조적 연속성 등 다양한 장점을 갖고 있지만, 결함 발생 시 구조 안전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설계, 시공, 검사 기준을 준수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토목 및 건축 구조물 설계자뿐만 아니라 시공 관리자, 품질 검사자들도 용접이음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경험이 요구되며, 특히 「강구조 설계기준(KDS 14 31 00)」을 숙지하고 현장에 적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본 글이 용접이음의 체계적인 이해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토목구조/강구조] - 조밀단면, 비조밀단면, 세장단면

     

    조밀단면, 비조밀단면, 세장단면

    강구조에서 조밀단면(compact section), 비조밀단면(non-compact section), 세장단면(slender section)은 단면의 좌굴(국부좌굴, local buckling) 특성을 기준으로 분류됩니다. 이러한 분류는 구조 설계에서 부재의

    structure-insight.tistory.com

     

    반응형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