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목구조/철근 콘크리트(RC)
-
콘크리트, 왜 보강이 필요할까요?토목구조/철근 콘크리트(RC) 2025. 5. 22. 15:54
겉보기엔 단단한 그 재료, 사실은 허점투성이일지도 모릅니다...토목이나 건축 현장에서 가장 흔하게 쓰이는 재료, 바로 콘크리트입니다. 무겁고, 단단하고, 견고해 보이지만… 과연 콘크리트는 혼자서 모든 하중에 잘 버틸 수 있을까요? 실제로 콘크리트만으로는 구조물 설계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이번 글에서는 구조재료로서 콘크리트가 갖는 본질적인 약점, 그리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보강재(철근)의 필요성과 원리를 설명드리겠습니다. ✍️ 👀 콘크리트의 약점, 그 이름은 '인장력' 콘크리트는 압축에는 매우 강한 반면, 인장에는 매우 약한 재료입니다. 📉압축력(compression) : 서로 밀어붙이는 힘인장력(tension) : 양쪽으로 당기는 힘전단력(shear) : 면을 따라 미끄러지는 힘이..
-
📈"콘크리트 강도, 이렇게 하면 30% 더 높일 수 있습니다!"토목구조/철근 콘크리트(RC) 2025. 5. 19. 20:17
콘크리트는 현대 토목구조물과 건축구조물의 핵심 재료로, 빌딩, 교량, 댐, 지하구조물 등 다양한 인프라의 구조적 안전성을 책임지고 있습니다. 튼튼한 콘크리트는 단순히 오래가는 구조물을 넘어, 재해나 하중에 대해 구조물이 견디는 능력, 즉 ‘내구성과 안전성’을 확보하는 데 필수적입니다.그렇다면 구조물의 생명력을 좌우하는 콘크리트 강도를 어떻게 높일 수 있을까요? 이 글에서는 콘크리트의 강도를 결정짓는 핵심 요소들과 함께, 실제 설계와 시공 시 고려해야 할 기술적 사항, 그리고 '대한민국 콘크리트 구조설계기준(KDS)'에서는 이를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1. 콘크리트 강도를 결정하는 핵심 요소✅ 콘크리트 강도는 단일 요소가 아닌 다음과 같은 여러 인자의 상호작용에 의해 결정됩니다.시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