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강구조 블록전단파단(block shear failure)의 발생원인과 설계시 고려사항토목구조/강구조 2025. 3. 20. 15:26
이번 시간에는 강구조에서 발생할수 있는 블록전단파단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블록전단파단(Block Shear Failure)블록전단파단(Block Shear Failure)은 볼트 접합부나 용접부를 포함한 연결부에서 발생하는 복합적인 전단 및 인장 파단 형태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전단에 의해 재료가 절단(shear failure)되는 것과 동시에, 나머지 부분이 인장에 의해 파단(tensile failure)되는 현상이 결합된 파괴 메커니즘이다.즉, 강재의 일부가 블록(block) 형태로 분리되면서 발생하는 파괴로, 단순 전단파단(shear failure)이나 순인장파단(tensile failure)과는 구별된다. 블록전단파단은 강구조 접합부 설계에서 중요한 요소로, 이를 고려하지 않으면 ..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개념 - 균등질보 개념토목구조/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SC) 2025. 3. 20. 13:29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SC)는 프리스트레싱 도입을 통해 콘크리트의 취성을 보완하고, 인장 응력을 효과적으로 저감하는 구조형식입니다. 그중 균등질보(Homogeneous Beam) 개념은 PSC 부재의 응력 해석을 단순화하는 중요한 이론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균등질보 개념과 긴장재 배치 형태(도심축 배치, 편심 직선 배치, 절곡 및 곡선 배치)에 따른 해석을 설명하고, 관련 된 내용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1. 균등질보(Homogeneous Beam) 개념 균등질보 개념은 프리스트레싱 도입 후 부재가 균등한 재료 특성을 가진 것처럼 해석할 수 있도록 하는 이론입니다. 즉 인장에 약하고 압축에 강한 콘크리트를 프리스트레싱하여 압축 상태에 있게 함으로써 하중에 의하여 발생되는 인장응력을 견딜수 있게 ..
-
유효순단면적(Ae)과 전단지연(Shear lag)토목구조/강구조 2025. 3. 18. 14:14
이번 시간에는 강구조에서 유효순단면적(Ae)과 전단지연(shear lag)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1. 유효순단면적(Effective Net Area)의 정의유효순단면적(Effective Net Area)은 강구조에서 순단면적(Net Area)에서 전단지연(Shear Lag) 등의 효과를 고려하여 감소된 단면적으로, 실제 하중을 지지하는 유효한 단면을 의미합니다. 이는 특히 인장 부재에서 중요하며, 구조물의 강도 및 안전성을 평가할 때 활용됩니다.2. 전단지연현상(Shear Lag)이란?전단지연(Shear Lag)이란 인장 부재가 하중을 전달할 때, 단면 전체가 균일하게 응력을 받지 못하고, 부재 접합부에서 불균등하게 응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전단지연 현상이라고 합니다. ✅ 전단지연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