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
☔️ 출근길, 우산 챙길까 말까? 초단기 강우 예측으로 고민 끝!이슈 인사이트/데일리 인사이트 2025. 8. 4. 00:01
오늘은 저녁부터 비 소식이 있어서 내일 아침 출근길에 우산을 챙겨야 할지 고민이 되시는군요. ☂️ 날씨 앱에서 보여주는 애매한 '비 올 확률' 때문에 답답했던 경험, 누구나 한 번쯤은 있을 겁니다. 하지만 이제는 그런 고민을 덜어드릴 수 있는 아주 확실한 방법이 있습니다. 바로 기상청의 '초단기 강우 예측' 서비스를 활용하는 것인데요. 오늘은 이 서비스를 활용하여 실시간으로 비구름의 움직임을 파악하고, 우산을 챙겨야 할지 말아야 할지 똑똑하게 결정하는 방법을 알려드리겠습니다. 🎯 초단기 강우 예측, 도대체 왜 정확한가요?대부분의 날씨 예보는 광범위한 지역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기 때문에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초단기 강우 예측은 실시간으로 관측된 기상 레이더의 정보를 바탕으로 합니다...
-
💡블럭식 보강토 옹벽 완벽 가이드(3) : 설계부터 붕괴 사례까지, 안전 시공의 모든 것토목구조/토목구조물 2025. 8. 1. 07:12
VI. 붕괴 사례 및 실패 분석1. 블럭식 보강토 옹벽의 주요 붕괴 원인블럭식 보강토 옹벽의 붕괴는 단일 원인보다는 설계, 시공, 유지 관리상의 복합적인 문제와 환경적 요인이 결합되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주요 붕괴 원인은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1.1 시공 관련 결함뒤채움 흙 다짐 불량 : 가장 빈번하고 치명적인 붕괴 원인으로 지적된다. 다짐이 불량하면 보강토체 내부에 과다한 침하와 공극이 발생하여 흙의 전단 강도가 저하되고, 보강재와 흙 간의 마찰력이 충분히 발현되지 못한다. 불량한 뒤채움 재료(대형 돌, 폐콘크리트 등) 사용은 다짐 불량을 더욱 심화시킨다. 부적절한 재료 사용 : 설계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저품질의 보강재나 뒤채움 흙을 사용하는 경우. 보강재 설치 불량 : 보강재의 길..
-
💡블럭식 보강토 옹벽 완벽 가이드(2) : 설계부터 붕괴 사례까지, 안전 시공의 모든 것토목구조/토목구조물 2025. 7. 31. 06:45
V. 설계 기준 및 핵심 고려 사항1. 적용 설계 기준 개요블럭식 보강토 옹벽의 설계는 주로 국토교통부의 "건설공사 비탈면 설계 기준" 및 관련 지침을 따른다. 철도나 도로와 같은 특정 시설물에는 "철도 설계 기준" 또는 "도로 설계 편람"과 같은 별도의 기준이 적용될 수 있다. 국내 기준에서 상세히 다루지 않는 설계 사항에 대해서는 미국 연방도로청(FHWA)의 설계 방법론이 참고된다. 특히, "KDS 11 80 10:2021 보강토 옹벽"은 국내 보강토 옹벽 설계의 통합된 코드 체계로서, 보강재의 장기 설계 인장 강도, 보강재 종류에 따른 안전율, 다단식 보강토 옹벽 설계 시 유의 사항 등이 추가된 최신 기준이다. 이 기준에 대한 해설서가 한국지반신소재학회에서 발간되어 현장 기술자들의 이해를 돕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