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구조 인장부재(Tension Member)의 정의와 고려사항토목구조물 2025. 3. 17. 15:01반응형
1. 인장부재의 정의
인장재(Tension Member)는 축 방향 인장력을 받는 부재를 의미하며, 주로 강구조에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된다. 인장재는 강한 인장 저항 능력을 갖고 있어 구조물에서 하중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철골 구조물에서 강재로 제작되며, 용접 또는 볼트 접합 방식으로 연결된다.
2. 인장재의 구조부재로서의 예
강구조에서 인장재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부재는 다음과 같다.
2-1. 트러스 부재(Truss Member)
- 트러스 구조에서 인장력을 받는 부재(현재)
- 강교나 건축 구조물의 트러스 시스템에서 자주 사용됨
2-2. 현수 케이블(Suspension Cable)
- 현수교에서 주케이블 및 행어 케이블
- 장스팬 구조물에서 케이블 시스템으로 활용됨
2-3. 브레이싱(Bracing)
- 횡력(풍하중, 지진하중)에 저항하는 가새 시스템
- 볼트나 용접으로 접합하여 구조물을 보강함
3. 총단면적과 순단면적의 정의
총단면적은 부재의 전체 단면적을 의미하며, 볼트 구멍이나 기타 결손이 없는 상태의 단면적을 나타낸다. 즉, 강재 단면의 전체적인 기하학적 면적을 기준으로 계산된다.
Ag=B×t 여기서, B는 폭(width), t는 두께(thickness)이다.
순단면적은 볼트 구멍 등에 의해 단면이 결손된 부재의 실제 인장 저항이 가능한 유효 단면적을 의미한다. 순단면적을 계산할 때는 볼트 구멍에 의한 단면 감소를 고려해야 한다.
An=Ag−Ah 여기서, Ah는 볼트 구멍에 의해 감소된 면적으로, 보통 볼트 구멍의 직경에 2.0mm(볼트 가공 여유)를 추가하여 고려한다.
Ah=n×d×t 여기서,
d : 볼트 구멍 직경 (일반적으로 볼트 직경 + 2.0mm)
t : 부재의 두께
n : 볼트 구멍 개수
4. 순단면적 산정 방법
4-1. 정렬 배치된 구멍(Aligned Holes)
볼트 구멍이 한 줄로 정렬되어 있는 경우, 순단면적은 가장 취약한 단면을 기준으로 계산된다.
An=Ag−ndt 여기서,
n : 단면을 가로지르는 볼트 구멍 개수
d : 볼트 구멍 직경
t : 강재 두께
4-2. 불규칙 배치된 구멍(Staggered Holes)
볼트 구멍이 엇갈리게 배치된 경우, 인장력의 경로가 비직선적으로 변화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단면적을 고려해야 한다. 유효 단면적은 다음과 같이 산정된다.
An=Ag−ndt+∑s24gt 여기서,
s : 인접한 2개 구멍의 응력 방향 중심간격(stagger distance)
g : 연결재 게이지선 사이의 응력 수직방향 중심간격(gauge distance)
볼트배치방법 (출처:강구조설계) 5. 관련 설계기준 (강구조 설계기준, KDS 14 31 10)
강구조 설계기준(KDS 14 31 10)에서는 인장재의 강도 산정 및 순단면적 계산 방법에 대해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5-1. 순단면적 계산(KDS 14 31 10: 5.4.2)
- 인장재의 순단면적은 볼트 구멍의 영향과 불규칙 배치를 고려하여 산정해야 한다.
- 순단면적의 감소 효과를 고려하여 효율적인 설계가 필요함.
5-2. 인장재의 설계강도(KDS 14 31 10: 7.2.3)
- 인장재의 설계강도는 총단면에 대한 항복과 단면결손 부분의 파단 강도를 모두 고려하여 아래와 같이 정의됨.
Pn=0.9fyAgPn=0.75fuAe 여기서,
fy : 항복강도
fu : 인장강도
Ag : 총단면적
Ae : 유효단면적
5-3. 볼트 구멍 고려(KDS 14 31 10: 5.4.3)
- 볼트 구멍 직경을 고려하여 순단면적을 산정해야 하며, 필요 시 효율적인 볼트 배치를 검토해야 한다.
- 정렬된 경우와 불규칙 배치된 경우에 대한 보정식이 제시됨.
6. 결 론
강구조에서 인장부재는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순단면적과 총단면적을 정확하게 계산하여 적절한 설계를 수행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특히, 볼트 구멍 배치 방식에 따라 순단면적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설계가 요구된다. 강구조 설계기준(KDS 14 31 10)에서는 인장재의 강도 산정 방법과 순단면적 계산 공식을 상세히 규정하고 있다.
반응형'토목구조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효순단면적(Ae)과 전단지연(Shear lag) (0) 2025.03.18 철근 콘크리트 부재의 횡방향 구속 효과와 강도 증가 메커니즘 (0) 2025.03.18 재령(시간)에 따른 콘크리트 강도 변화 (1) 2025.03.17 콘크리트 강도 측정 방법 (0) 2025.03.16 콘크리트의 수축과 수축에 따른 문제점 (0) 2025.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