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재령(시간)에 따른 콘크리트 강도 변화토목구조물 2025. 3. 17. 10:10반응형
이번 시간에는 재령(시간)에 따른 콘크리트 강도 및 탄성계수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개요
콘크리트의 강도와 탄성계수는 시간(재령)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며, 이러한 변화는 설계 및 구조해석 시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일반적으로 재령이 증가함에 따라 강도와 탄성계수가 증가하지만, 증가율은 시간에 따라 달라집니다. 본 글에서는 재령에 따른 압축강도, 인장강도 및 탄성계수의 변화를 정리하고, 국내 설계기준(KDS 및 KS 규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 재령에 따른 압축강도 변화
2.1 일반적인 변화 경향
-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초기 재령에서 급격히 증가한 후 점차 완만하게 증가함.
- 일반적으로 28일 강도를 기준으로 평가하며, 이후에도 강도 증가는 지속됨.
- 보통 90일 이후에는 증가율이 크게 둔화되며, 1년 이후에는 거의 변화가 없음.
- 시멘트의 종류, 혼화재료, 양생 조건 등에 따라 강도 발현 특성이 달라질 수 있음.
2.2 국내 설계기준(KDS 14 20 10, KS F 2405)
- KDS 14 20 10(구 KCI 설계기준)에서는 콘크리트의 압축강도 증가를 반영하는 계수(fcm(t)/fcm(28))를 제시하고 있음.
- 일반적인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사용 시, 다음과 같은 강도 발현 계수가 적용됨.
재령(days) 강도발현계수 (fcm(t)/fcm(28)) 3 0.40 7 0.65 28 1.00 90 1.16 180 1.20 365 1.25 - KS F 2405에서는 압축강도 시험 방법을 규정하고 있으며, 재령별 시험 강도를 측정하여 평가하도록 하고 있음.
3. 재령에 따른 인장강도 변화
3.1 일반적인 변화 경향
-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는 압축강도와 유사하게 증가하지만, 증가율은 상대적으로 낮음.
- 일반적으로 28일 이후에는 압축강도 증가보다 더 낮은 비율로 인장강도가 증가함.
- 인장강도는 압축강도의 약 10~15% 수준으로 평가됨.
3.2 국내 설계기준(KDS 14 20 10)
- KDS에서는 인장강도를 다음과 같이 추정할 수 있도록 제시함.
fctm = 0.30 × fcm^(2/3) (MPa)
여기서, fcm은 콘크리트의 평균압축강도(MPa)임.
- 또한, 인장강도 증가 계수는 압축강도 증가 계수보다 낮은 값을 가지며, 다음과 같이 평가할 수 있음.
재령(days) 인장강도발현계수 (ft(t)/ft(28)) 3 0.30 7 0.55 28 1.00 90 1.10 180 1.12 365 1.15 4. 재령에 따른 탄성계수 변화
4.1 일반적인 변화 경향
-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는 압축강도와 마찬가지로 재령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지만, 증가율은 압축강도 증가율보다 낮음.
- 초기 재령에서는 급격히 증가하며, 28일 이후에는 증가 속도가 둔화됨.
- 1년 이후에는 거의 일정한 값을 유지함.
4.2 국내 설계기준(KDS 14 20 10)
- KDS에서는 탄성계수를 다음과 같이 산정하도록 제시함.
Ec = 8,500 × fcm^(1/3) (MPa)
여기서, fcm는 콘크리트의 평균압축강도(MPa)임.
- 탄성계수 증가 계수는 다음과 같이 평가됨.
재령(days) 탄성계수 증가계수 (Ec(t)/Ec(28)) 3 0.50 7 0.75 28 1.00 90 1.08 180 1.10 365 1.12 5. 결론
- 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재령 28일까지 급격히 증가하며, 이후 완만한 증가를 보이고 1년 이후에는 거의 일정한 값을 유지함.
- 인장강도는 압축강도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지만 증가율이 다소 낮으며, 압축강도의 약 10~15% 수준임.
- 탄성계수 역시 압축강도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지만 증가율이 더 낮으며, 1년 이후에는 거의 일정한 값을 유지함.
- 국내 설계기준(KDS 14 20 10 및 KS F 2405)에서는 재령에 따른 강도 및 탄성계수 증가를 고려할 수 있도록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음.
이러한 재령별 특성을 고려하여 설계 및 해석 시 적절한 보정 계수를 적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 이 시간에는 재령에 따른 콘크리트 압축강도, 인장강도 및 탄성계수의 변화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반응형'토목구조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근 콘크리트 부재의 횡방향 구속 효과와 강도 증가 메커니즘 (0) 2025.03.18 강구조 인장부재(Tension Member)의 정의와 고려사항 (0) 2025.03.17 콘크리트 강도 측정 방법 (0) 2025.03.16 콘크리트의 수축과 수축에 따른 문제점 (0) 2025.03.14 내진설계 개념 (내진, 면진, 제진) (0) 2025.03.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