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콘크리트 탄성계수(Elastic Modulus)토목구조/철근 콘크리트(RC) 2025. 2. 28. 12:53
콘크리트의 탄성계수란 무엇인가? 콘크리트는 건설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재료 중 하나로, 구조물의 내구성과 안전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그중에서도 콘크리트 탄성계수는 콘크리트의 변형 특성을 평가하는 핵심 지표입니다. 이 글에서는 콘크리트의 탄성계수 개념, 계산 방법, 그리고 현행 구조설계기준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있는지를 살펴보겠습니다. 1. 탄성계수의 개념탄성계수란?탄성계수(Elastic Modulus, Young's Modulus)는 재료가 외부 힘을 받을 때 변형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물리적 특성입니다. 이는 응력(Stress)과 변형률(Strain)의 비율로 정의되며, 재료가 얼마나 강하고 단단한지를 평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수식으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E=\frac{..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SC)의 완전긴장과 부분긴장토목구조/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SC) 2025. 2. 27. 12:28
이번 시간에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완전긴장과 부분긴장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 각각에 대한 장점과 단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1.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 완전긴장과 부분긴장의 개념과 실무 적용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는 인장력이 발생하기 전에 압축력을 가해 구조물의 성능을 강화하는 기술입니다. 이를 통해 균열 저항성, 처짐 감소, 재료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핵심적인 개념이 완전긴장(Full Prestressing)과 부분긴장(Partial Prestressing)입니다. 본 포스트에서는 이 두 개념의 정의, 장단점, 그리고 실무 적용 방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합니다. 2. 완전긴장(Full Prestressing)의 개념완전긴장은 콘크리트 단면에 가해지는 압축력이 모든 외력..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SC)의 원리 - RC와 비교토목구조/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SC) 2025. 2. 27. 11:45
이번 시간에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SC)의 원리를 알아보고 철근콘크리트(RC)와는 어떤 구조적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1.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의 원리와 철근콘크리트와의 비교 콘크리트는 현대 토목과 건축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재료 중 하나로, 압축력에는 강하지만 인장력에는 취약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철근을 보강한 철근콘크리트(RC, Reinforced Concrete)가 사용되지만,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SC, Prestressed Concrete)는 이보다 더 진보된 기술로 구조물의 성능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킵니다. 이번 글에서는 두 시스템의 원리와 차이점을 깊이 있게 탐구하고, 각 구조의 특성을 비교해보겠습니다. 2. 철근콘크리트(RC)의 구..
-
콘크리트의 구성 재료토목구조/철근 콘크리트(RC) 2025. 2. 26. 17:11
이번 시간에는 콘크리트의 구성재료의 종류와 각 구성재료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콘크리트 구성재료의 종류와 역할: 시멘트, 물, 골재의 완벽 가이드콘크리트는 건축과 토목 공사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재료 중 하나입니다. 강도, 내구성, 작업성 등의 특성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는 바로 콘크리트를 이루는 기본 구성재료들입니다. 이 글에서는 콘크리트의 핵심 구성재료인 시멘트, 물, 잔골재, 굵은골재의 역할과 특성을 상세하게 알아보고, 이를 통해 고품질의 콘크리트를 제작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1. 시멘트(Cement)시멘트는 콘크리트의 결합재로서, 물과 반응해 경화되면서 골재 입자들을 강하게 결합시킵니다.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포틀랜드 시멘트(Portland Cement)는 석회석과 점토를 고온..
-
단위 체계토목구조 2025. 2. 26. 16:37
이번시간에는 토목구조해석에서 사용하고 있는 단위체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토목구조 분야에서 힘의 단위는 주로 국제단위계(SI 단위)를 사용합니다.📏 **국제단위계(SI)**- 힘의 기본 단위 : 뉴턴(N, Newton)- 1 N = 1 kg·m/s² → 1뉴턴은 1kg의 물체에 1m/s²의 가속도를 줄 때 필요한 힘입니다. -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단위:- kN (킬로뉴턴) : 1 kN = 1000 N- MN (메가뉴턴) : 1 MN = 1,000,000 N- 킬로뉴턴은 구조해석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며, 보, 기둥, 슬래브의 하중 계산에 흔합니다. ** 하중 표현 예시**- 건축물의 자중: **kN/m² (단위면적당 하중)- 보의 축력: kN 또는 MN- 지반 반력: kN/m²- 케이블 장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