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강구조 인장부재(Tension Member)의 정의와 고려사항토목구조/강구조 2025. 3. 17. 15:01
1. 인장부재의 정의인장재(Tension Member)는 축 방향 인장력을 받는 부재를 의미하며, 주로 강구조에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된다. 인장재는 강한 인장 저항 능력을 갖고 있어 구조물에서 하중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철골 구조물에서 강재로 제작되며, 용접 또는 볼트 접합 방식으로 연결된다. 2. 인장재의 구조부재로서의 예강구조에서 인장재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부재는 다음과 같다.2-1. 트러스 부재(Truss Member)트러스 구조에서 인장력을 받는 부재(현재)강교나 건축 구조물의 트러스 시스템에서 자주 사용됨2-2. 현수 케이블(Suspension Cable)현수교에서 주케이블 및 행어 케이블장스팬 구조물에서 케이블 시스템으로 활용됨2-3. 브레이싱(Bracing..
-
재령(시간)에 따른 콘크리트 강도 변화토목구조/철근 콘크리트(RC) 2025. 3. 17. 10:10
이번 시간에는 재령(시간)에 따른 콘크리트 강도 및 탄성계수의 변화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1. 개요콘크리트의 강도와 탄성계수는 시간(재령)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며, 이러한 변화는 설계 및 구조해석 시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일반적으로 재령이 증가함에 따라 강도와 탄성계수가 증가하지만, 증가율은 시간에 따라 달라집니다. 본 글에서는 재령에 따른 압축강도, 인장강도 및 탄성계수의 변화를 정리하고, 국내 설계기준(KDS 및 KS 규정)을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 재령에 따른 압축강도 변화2.1 일반적인 변화 경향콘크리트의 압축강도는 초기 재령에서 급격히 증가한 후 점차 완만하게 증가함.일반적으로 28일 강도를 기준으로 평가하며, 이후에도 강도 증가는 지속됨.보통 90일 이후에는 증가율이 크게 둔화되..
-
콘크리트 강도 측정 방법토목구조/철근 콘크리트(RC) 2025. 3. 16. 11:02
이번 시간에는 콘크리트의 강도 측정 방법에는 어떠한 방법들이 있으며, 각 방법은 어떠한 과정을 통해 콘크리의 강도를 측정하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콘크리트 강도 측정이 중요한 이유콘크리트는 토목 및 건축 구조물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재료로, 구조적 안전성과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해 강도 평가가 필수적입니다. 콘크리트의 강도는 설계하중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지를 판단하는 중요한 요소중 하나이며, 강도가 부족할 경우 구조물의 붕괴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콘크리트 강도를 측정하는 주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구조적 안전성 확보: 설계 기준강도에 부합하는 강도를 만족하는지 확인 품질 관리: 시공 중 및 시공 후 콘크리트 품질을 보증내구성 평가: 장기적인 사용을 고려한 구조물의 성능 ..
-
콘크리트의 수축과 수축에 따른 문제점토목구조/철근 콘크리트(RC) 2025. 3. 14. 10:23
이번 시간에는 콘크리트의 수축과 수축을 발생시키는 요인, 수축으로 인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에 발생할 수 있는 여러가지 문제점들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1. 콘크리트 수축 개요콘크리트는 경화 과정에서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부피가 줄어드는 현상을 보이며, 이를 "콘크리트 수축"이라 합니다. 수축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과 긴장력 손실 등의 원인이 되므로, 이를 최소화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콘크리트의 수축은 크게 자기수축, 건조수축, 탄산수축으로 나뉘며, 각각의 원인과 영향이 다릅니다. 2. 콘크리트의 수축 요인2.1 자기수축 (Autogenous Shrinkage)자기수축은 콘크리트가 수화 반응을 일으키는 과정에서 내부적으로 수분이 소비되면서 즉, 시멘트 풀이 수축하면서 발생하..
-
내진설계 개념 (내진, 면진, 제진)토목구조/내진관련 2025. 3. 13. 22:33
내진설계의 이해: 내진, 면진, 제진의 개념과 적용 사례지진은 순식간에 엄청난 에너지를 방출해 교량, 터널, 댐, 고가도로와 같은 토목 인프라에 치명적인 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러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토목 구조물에도 내진설계(Seismic Design)가 필수적으로 적용됩니다. 내진설계는 크게 내진(耐震, Seismic Resistance), 면진(免震, Seismic Isolation), 제진(制震, Seismic Control) 세 가지로 나뉘며, 각 방식은 지진의 영향에 대응하는 고유한 전략을 가집니다. 이번 글에서는 토목 구조물을 중심으로 이 설계 기법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한국의 KDS 14 20 00 및 ACI 318 기준과 연계해 실무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내용을 정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