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바우싱거 효과(Bauschinger Effect)란?토목구조/강구조 2025. 4. 5. 09:34
1. 바우싱거 효과 개요 1.1 바우싱거 효과 정의바우싱거 효과(Bauschinger Effect)는 금속 재료가 한 방향으로 소성 변형(plastic deformation)을 경험한 후, 반대 방향으로 하중을 가하면 항복 강도가 감소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즉, 재료가 한 방향으로 변형될 때 내부 조직이 변화하여 반대 방향으로 변형될 때 더 쉽게 변형되는 특성을 갖게 됩니다. 이 효과는 1881년 독일의 공학자 요한 바우싱거(Johann Bauschinger)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습니다. 이후 금속 재료의 기계적 거동을 분석하는 데 중요한 개념으로 자리 잡았으며, 오늘날 구조공학, 기계공학, 재료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고 있습니다.1.2 바우싱거 효과의 원인바우싱거 효과는 금속 내부의 미세구조 변..
-
도심 싱크홀(땅꺼짐 현상) 발생원인 및 대책토목구조 2025. 4. 4. 11:46
1. 서론 : 도시 지역 싱크홀 발생 증가 추세 및 우려최근 들어 도심지에서 지반이 함몰되어 갑작스러운 구멍이나 웅덩이가 발생하는 싱크홀 현상이 국내외적으로 빈번하게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싱크홀은 도로, 건물, 지하 시설 등 도시 기반 시설에 심각한 손상을 입힐 수 있으며, 인명 피해로까지 이어질 수 있어 사회적인 우려가 증대되고 있다. 본 글에서는 도심지 지역에서 발생하는 싱크홀의 정의, 발생 원인 (자연적 및 인위적 요인), 최근 국내외 주요 발생 사례, 싱크홀 발생을 예방하고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 방안, 위험 지역 예측 및 관리 기술, 시민 안전 수칙, 그리고 전문가의 견해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제시하고자 한다.도시 지역에서 싱크홀 발생 사례가 늘어나는 것은 도시화의 심화와 함께 지하 공간..
-
구조물의 사용수명(Service Life)토목구조/토목구조물 2025. 4. 3. 09:22
이번 시간에는 구조물의 사용수명에 대해 알아보고 사용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으며, 사용수명을 늘리기 위한 보수보강 방안에는 어떠한 방법들이 있는 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토목구조물의 사용수명 개요1.1. 사용수명의 정의구조물의 사용수명(Service Life)이란, 구조물이 본래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간을 의미합니다. 이는 구조물의 설계, 시공, 유지관리, 환경적 요인 등에 따라 달라지며, 사용수명이 길수록 유지보수 비용이 절감되고 경제성이 확보됩니다. 그러나 구조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열화되므로, 정기적인 유지관리와 적절한 보수·보강이 필수적입니다. 1.2. 구조물의 설계수명 기준국내에서는 토목구조물의 설계수명을 기준에 따라 규정하고 있..
-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피복두께(Cover)토목구조/철근 콘크리트(RC) 2025. 4. 2. 09:36
이번 시간에는 철근 콘크리트(RC) 구조물에서 피복두께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피복두께의 정의피복두께(Cover Thickness)란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철근의 외측 표면부터 콘크리트 외측 표면까지의 거리(두께)를 의미합니다. 이는 구조물의 내구성과 강도 확보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며, 구조물의 사용 목적과 환경 조건에 따라 적절한 두께가 요구됩니다.2. 피복두께의 필요성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서 피복두께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주요 필요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1) 철근의 부식 방지콘크리트는 알칼리성이 강하여 철근이 부식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러나 피복두께가 부족하면 외부의 염화물, 이산화탄소, 습기 등이 철근에 도달하여 부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충..
-
교량 시설물의 내진성능평가 및 내진보강토목구조/내진관련 2025. 4. 1. 11:10
이번 시간에는 교량 시설물의 내진성능평가 대상 부재와 내진성능 평가 후 내진보강방안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1. 교량 내진성능 평가 개요교량은 지진 발생 시 구조적 안전성이 확보되어야 하며, 이에 대한 평가를 위해 내진성능 평가가 필수적입니다. 내진성능 평가를 통해 교량의 구조적 취약성을 분석하고, 필요한 보강 방법을 결정합니다. 일반적으로 내진성능 평가 대상 부재는 다음과 같습니다.교 각(Pier) : 주요 하중을 지지하는 구조물로, 지진시 안정성 및 붕괴 위험 분석 필요받침장치(Bearing Device) : 상부구조와 하부구조를 연결하며, 상부구조의 하중을 하부구조로 전달. 지진 하중을 분산받침부 앵커볼트(Bearing Anchor) : 받침장치를 하부구조에 연결하는 요소기 초(Fou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