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철근의 부식토목구조/철근 콘크리트(RC) 2025. 4. 21. 09:10
1. 구조물에서 철근이 부식되는 이유1.1 철근과 콘크리트의 상호작용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은 철근의 장점(인장 강도)과 콘크리트의 장점(압축 강도)을 결합하여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합니다. 콘크리트는 알칼리성(pH 12~13)의 환경을 제공하여 철근 표면에 부동태 피막을 형성하게 하며, 이 피막은 철근을 외부의 부식 요인으로부터 보호합니다.1.2 철근 부식의 주요 원인1) 염화물이온 침투해안 지역이나 제설제가 사용되는 도로 주변 구조물에서는 염화물이 콘크리트 내로 침투할 수 있습니다. 일정 농도 이상의 염화이온이 철근 주변에 도달하면 부동태 피막이 파괴되고 국부적인 부식(Pitting Corrosion)이 발생하게 됩니다. 2) 탄산화(Carbonation)대기 중의 이산화탄소(CO₂)가 콘크리트 내부로 확산..
-
토목구조물과 건축구조물토목구조/토목구조물 2025. 4. 20. 16:33
우리 주변에는 수많은 구조물이 존재 합니다. 고속도로를 달리며 지나는 교량, 땅속을 통과하는 지하철, 터널, 사람들이 거주하는 아파트, 병원, 학교, 공장 등은 모두 구조물에 해당합니다. 그런데 이러한 구조물은 기능과 역할에 따라 ‘토목구조물’과 ‘건축구조물’로 나뉩니다. 실제로 일반인 뿐만 아니라 구조기술자나 시공사, 감리자, 공무원 까지도 이 둘의 차이를 명확히 알고 있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이 글에서는 토목구조물과 건축구조물의 차이점을 정의, 기능, 설계기준, 작용하중, 재료, 시공, 유지관리에 이르기까지 종합적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1. 구조물의 정의와 역할1.1 구조물의 기능적 구분1) 토목구조물(Civil Engineering Structures)토목구조물은 사회 기반시설을 구성하는 구조물..
-
콘크리트 구조물에서의 균열(Crack)토목구조/철근 콘크리트(RC) 2025. 4. 19. 09:46
1.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서 균열이 발생하는 이유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은 오늘날 도심의 고층건물, 교량, 터널, 지하 구조물 등 거의 모든 인프라에서 중요한 구조재로 사용됩니다. 콘크리트는 압축력에는 강하지만 인장력에는 약한 특징이 있으며, 철근을 함께 배치하여 이러한 약점을 보완합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구조 시스템에도 불구하고 균열(Crack)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불가피하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서 발생하는 균열은 단순히 외관상 보기 좋지 않다는 문제를 넘어서, 구조물의 내구성과 수명, 안전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그 원인을 정확히 이해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1.1 재료적 요인1)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콘크리트는 시멘트, 물, 골재(모래, 자갈) 등을 혼합하여 제조되며..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에서 부착긴장재와 비부착긴장재의 차이토목구조/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SC) 2025. 4. 18. 09:10
1. 서 론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Prestressed Concrete)는 콘크리트의 취약한 인장 성능을 극복하기 위해 인공적으로 긴장력을 도입하여, 구조물의 휨과 균열을 최소화하는 구조입니다. 이러한 프리스트레싱 시스템에서 긴장력을 전달하는 핵심 요소는 바로 '긴장재(Tendon)'이며, 이 긴장재는 부착형(Bonded)과 비부착형(Unbonded)으로 나뉘게 됩니다. 이 두 가지 방식은 긴장재의 콘크리트 내부에서의 위치, 거동 방식, 유지관리의 용이성, 구조적 안전성 등에서 서로 다른 특성을 보이며, 구조물의 형태 및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적용됩니다.2. 부착 긴장재 (Bonded Tendons)2.1 정 의부착 긴장재(Bonded Tendons)는 긴장재(주로 강연선, PC Strand)가 콘크리..
-
신축이음(Expansion Joint)과 수축이음(Contraction Joint)토목구조/토목구조물 2025. 4. 17. 13:32
1. 서 론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은 시공 후 오랜 기간에 걸쳐 다양한 외적·내적 요인의 영향을 받습니다. 특히 온도 변화, 재료의 수축 및 크리프(creep), 지반의 침하와 같은 요인은 구조물 전체의 변형을 유발할 수 있으며, 그 결과로 균열이나 파손 같은 구조적 결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구조물에는 '이음(Joint)’이 계획적으로 도입되며, 크게 신축이음(Expansion Joint)과 수축이음(Contraction Joint)으로 구분됩니다.이번 시간에는 각 이음의 정의와 설치 이유, 설계 기준, 구조적 구성(특히 철근 절단 여부)를 포함하여 설치 간격과 실무적 차이점까지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2. 신축이음 (Expansion Joint)2.1 신축이음의 정의신축이음(신축조인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