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콘크리트 혼화제의 종류와 사용 목적토목구조/철근 콘크리트(RC) 2025. 4. 16. 09:21
1. 혼화제란 무엇인가? 1.1 혼화제의 정의혼화제는 콘크리트의 성능을 개선하거나, 특정한 조건에서 콘크리트가 요구하는 성능을 충족시키기 위해 소량 첨가되는 화학 물질을 말합니다. 일반적으로 혼화제는 시멘트 질량의 5% 이하의 양으로 첨가되며, 작업성, 강도, 수밀성, 내구성, 시공성 등 다양한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됩니다.혼화제는 물-결합재비(W/B)나 시멘트-물비(C/W)의 조정 없이도 콘크리트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단으로, 현대 콘크리트 기술에서 없어서는 안 될 재료입니다.1.2 혼화재와 혼동하지 않기혼화제와 유사한 용어로 혼화재(混和材, Mineral Admixture)가 있습니다. 혼화재는 콘크리트에 많은 양(보통 시멘트량의 10% 이상)을 섞는 물질로, 대표적으로 플라이애..
-
허용응력설계법(ASD)과 강도설계법(USD)의 차이토목구조/철근 콘크리트(RC) 2025. 4. 15. 10:53
1. 구조설계법의 기본 개념 1.1 구조설계구조설계란 구조물이 다양한 하중에 노출되었을 때 안전성과 사용성을 유지하도록 단면과 부재를 설계하는 과정이다. 이러한 설계는 단순히 재료의 강도만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하중의 작용 특성, 구조물의 사용 목적, 수명, 외기 환경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이때 구조설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하중에 대한 구조물의 저항력을 평가하고, 하중이 커져도 구조물이 파괴되거나 과도하게 변형되지 않도록 적절한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설계 시에는 하중이나 강도에 안전율 또는 계수를 적용하게 되며, 이 방식에 따라 설계법이 구분된다. 1.2 철근콘크리트 구조설계에서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방법허용응력설계법 (Allowable Stress Design,..
-
철근콘크리트 펀칭전단파괴토목구조/철근 콘크리트(RC) 2025. 4. 14. 14:11
1. 서론 :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펀칭전단파괴 철근콘크리트 슬래브는 집중하중이나 반력에 노출될 때 펀칭전단파괴라는 특정 유형의 파괴에 취약합니다. 이는 주로 평판 슬래브 구조에서 기둥 지점이나 집중하중 하에서 발생합니다. 펀칭전단파괴는 하중이 슬래브를 뚫고 나가는 듯한 형태로 나타나며, 하중 작용면을 따라 원뿔 또는 피라미드 형태의 파괴면을 형성합니다. 보에서의 일반적인 전단파괴(일방향 전단)와 달리 펀칭전단은 하중 주변의 두 직교 방향으로 전단응력이 작용하는 2차원적 현상으로, "양방향 전단"이라고도 합니다. 이러한 파괴는 하중 지점이나 집중하중 부근의 매우 국부적인 영역에서 발생합니다. 2. 구조적 안전의 중요성펀칭전단파괴는 예측하기 어렵고 갑작스럽게 발생할 수 있는 취성적인 파괴 형태입니다. ..
-
고유진동수(Natural Frequency)토목구조/내진관련 2025. 4. 12. 14:06
1. 고유진동수의 정의 고유진동수(Natural Frequency)란 구조물이나 기계 시스템이 외부의 주기적인 힘이나 충격이 사라졌을 때, 자연스럽게 특정한 주파수로 진동하는 고유한 성질을 의미합니다. 이 고유한 주파수는 구조물의 질량(m)과 강성(k)에 따라 결정되며, 자유진동(free vibration) 상태에서 나타나는 중요한 동적 특성입니다. 수학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식으로 표현됩니다:각 고유진동수 : $\omega _{n} = \sqrt{\frac{k}{m}}\; \; \: \: \: \: (rad/s)$고유진동수 : $f _{n} =\frac{1}{2\pi } \sqrt{\frac{k}{m}}\; \; \: \: \: \: (Hz)$여기서,k : 구조물의 강성 (stiffness)m : 구조..
-
구조역학의 기본, 부재력과 단면력토목구조/구조역학 2025. 4. 11. 09:32
안녕하세요! 오늘은 토목 및 건축 구조 설계의 가장 기본적인 토대라고 할 수 있는 부재력과 단면력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는 시간을 갖겠습니다. 복잡하고 거대해 보이는 건축물과 인프라 시설들이 우리에게 안전과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그 속에서 작용하는 힘의 원리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입니다. 마치 우리 몸의 뼈와 근육이 외부의 힘에 저항하며 균형을 이루듯, 구조물 역시 다양한 하중 조건 속에서 내부적으로 힘을 발생시키며 안정성을 유지합니다. 바로 이 내부의 힘이 부재력과 단면력이라는 형태로 나타나는 것이죠.만약 이러한 개념에 대한 명확한 이해 없이 구조물을 설계한다면, 이는 마치 눈을 감고 운전하는 것과 같습니다. 잠재적인 설계 결함은 물론이고, 심각한 경우에는 구조물의 파괴라는 끔찍한 결과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