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응답 스펙트럼 해석(RSA)토목구조/내진관련 2025. 4. 26. 11:35
1. 서 론지진 발생 가능성이 있는 지역, 특히 한반도와 같이 중저지진 지역에서는 지진 설계가 안전과 재해 방지를 위한 핵심 요소입니다. 지진과 같은 동적 하중 하에서 구조물의 거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동적 해석이 필수적이며, 응답 스펙트럼 해석은 이러한 영역에서 간결성과 정확성 사이의 균형을 제공하는 중요한 도구로 자리매김했습니다. 본 글에서는 응답 스펙트럼 해석의 기본 원리부터 실제 적용 사례 등을 통해 응답 스펙트럼 해석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합니다.2. 기본 개념 이해 - 응답 스펙트럼 해석이란 무엇인가?2.1 응답 스펙트럼 해석의 정의응답 스펙트럼 해석(Response Spectrum Analysis, RSA)은 구조물의 최대 지진 응답을 추정하는 데 사용되는 선형 동적 해석 방법입니다. 이 ..
-
지반가속도(PGA)와 지진규모(Magnitude)의 관계토목구조/내진관련 2025. 4. 25. 22:18
지반가속도(peak ground acceleration, PGA)와 지진규모(magnitude)의 관계는 내진설계나 내진성능평가를 수행하는 구조기술자들에게도 혼동을 줄 수 있는 주제입니다. 왜냐하면 지진의 크기를 나타내는 방식에는 여러 개념이 존재하고, 이들 간의 직접적인 상관관계는 단순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아래에 일반적인 개념부터 실제 내진설계에 어떻게 활용되는지, 그리고 국내 설계기준에서는 이를 어떻게 다루는지를 포함해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1. 지진규모와 지반가속도의 차이1.1 지진규모(Magnitude)의 정의지진규모는 지진의 전체 에너지나 크기를 나타내는 물리량입니다. 일반적으로 지진규모를 표현하는 방법으로는 리히터 규모와 모멘트 규모가 있습니다. 리히터 규모는 지진파의 최대 진폭을 측정하..
-
옹벽 구조물(Retaining Wall) 이란?토목구조/토목구조물 2025. 4. 24. 09:41
옹벽은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지만, 그 중요성은 종종 간과되곤 합니다. 옹벽이란 무엇일까요? 간단히 말해, 옹벽은 흙이 자체의 압력으로 인해 무너지지 않도록 만든 벽입니다. 이는 용지가 제한된 상황에서 토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구조물이며 , 절토면이나 성토면이 흙의 압력으로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는 콘크리트 벽체의 역할을 합니다. 옹벽은 주로 토사와 물을 막아 전면과 배면에 유용한 공간을 확보하는 데 목적을 둡니다. 흙과 물은 상당한 무게와 압력을 지니는데, 옹벽은 이러한 외력을 견디고 지반 자체의 지지력을 유지하며 토사 유실을 막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지표면의 안정적인 경사면을 더 가파르게 조성할 때, 옹벽은 지반 붕괴를 막기 위해 필수적인 구조물이 됩니다. 우리 주변을 둘러보..
-
교량 받침장치(Bridge bearing)의 주요기능토목구조/토목구조물 2025. 4. 23. 09:58
1. 교량받침 정의와 주요기능1.1 교량받침(교좌장치)이란?교량받침(Bridge Bearing)은 상부 구조물과 하부 구조물 사이에 설치되어, 교량의 안정성과 사용성 확보에 있어 핵심적인 기능을 담당하는 부재입니다. 일반적으로 교량의 상부구조는 거더, 슬래브 등으로 구성되고, 하부구조는 교대 및 교각으로 구성됩니다. 이 사이에 설치되는 받침은 상부 구조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하중을 하부 구조물로 안전하게 전달함과 동시에, 교량 구조물에서 발생하는 온도에 의한 팽창, 수축, 지진 등의 영향에 따라 발생하는 움직임을 효과적으로 제어합니다.즉, 교량받침은 정적인 하중 뿐만 아니라 동적인 외력과 거동을 수용하고 제어하는 ‘기계적 요소’로서, 교량의 전반적인 성능을 좌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2 교량받침의..
-
교량 구조물의 내하력 평가토목구조/정밀안전진단 · 점검 2025. 4. 22. 11:52
1. 내하력 평가란 무엇인가?1.1 내하력 평가의 정의1) 내하력 평가는 교량, 터널 등과 같은 사회기반시설물, 특히 교량 구조물이 현재 상태에서 외부 하중(특히, 활하중-차량하중)에 대해 얼마나 견딜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기술적 절차입니다. 여기서 외부 하중은 자중, 활하중, 풍하중, 지진하중, 온도하중, 건조수축 및 크리프 등 구조물에 작용할 수 있는 다양한 하중 조건을 포함합니다. 2) 구조물은 설계 시점에서 일정한 하중 조합(예: 사용하중, 계수하중)에 대한 저항력을 갖도록 설계되지만, 시간이 경과하면서 재료 노후화, 균열 발생, 손상, 구조적 변경 등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실제 하중에 대한 저항 능력도 변하게 됩니다. 내하력 평가는 이러한 구조물의 현재 상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설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