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용인 항타기 전도 사고 분석과 예방 대책토목구조/토목구조물 2025. 6. 11. 21:17
🔍 사고 개요 2025년 6월 5일 오후 10시 13분경,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서천동의 ‘인덕원∼동탄 복선전철’ 제10공구 건설현장에서 대형 항타기(천공장비) 가 전도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현장에 배치된 항타기는 길이 약 44m, 무게 70.8t의 대형 천공기(디젤해머식 드롭해머형)로, 지하 굴착 공사 가시설 설치용으로 작업 대기 중이었다. 사고 당시 항타기는 서서히 기울며 15층 A동 건물 외벽과 충돌했고, 이 과정에서 최상층의 베란다 창문이 깨지고 창틀이 휘는 등 벽면 일부가 파손되었다. 다행히 인명피해는 없었다. 그러나 사고 순간 폭음과 진동으로 A동의 일부 입주민들이 긴급 대피했고, 아파트 단지 거주자 약 150여 명이 인근 호텔로 피신하는 등 불안이 확산되었다. 주민 2명은 사고 충격음에 ..
-
📌 단면2차 모멘트 - 구조물의 휨 저항력을 이해하는 핵심토목구조/구조역학 2025. 6. 9. 09:35
혹시 이런 경험 있으신가요? 개울을 건너기 위해 널빤지를 놓는데, 좁은 면으로 세웠을 때 훨씬 튼튼하게 느껴졌던 경험 말이죠. 같은 널빤지인데 놓는 방향에 따라 강성이 달라진다니, 과연 어떤 원리 때문일까요? 그리고 이런 현상을 어떻게 하면 공학적으로 설명하고, 더 나아가 구조물 설계에 적용할 수 있을까요? 이 모든 궁금증의 핵심에는 바로 '단면 2차 모멘트(Moment of Inertia of Area)'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건축물과 구조물의 안정성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인 단면 2차 모멘트에 대해 구조역학 전문가의 시선으로 깊이 있게 파헤쳐 보고자 합니다. 어렵게만 느껴졌던 단면 2차 모멘트가 어떻게 구조물의 굽힘 저항력과 직결되는지, 그리고 실제 설계에서는 어떻게 활용되는지 명쾌하게 ..
-
🔍 파괴는 언제, 어떻게 일어날까? 파괴이론(Failure Theory)토목구조/구조역학 2025. 6. 6. 17:22
이번 시간에는 파괴이론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부재에 하중을 증가하면 언젠가는 재료가 파괴된다는 사실, 모두 알고 계실 겁니다. 🏗️ 하지만 정적 파괴가 언제 발생할지 정확히 예측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닙니다. 이런 정적파괴 발생을 예측하는 방법에는 어떠한 방법이 있을까요? 그리고 부재의 응력이 어느 수준에 도달해야 파괴가 일어날까요? 이런 의문들을 해결하기 위해 우리는 '파괴 이론'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글에서는 파괴 이론의 핵심 개념들을 명확히 설명하고, 다양한 파괴 이론들을 비교 분석하여 여러분의 설계 및 분석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1. 파괴의 정의 : 연성 vs. 취성 재료 🔍가장 먼저 '파괴'가 무엇인지 명확하게 정의해야 합니다. 재료의 종류에 따라 파..
-
💡유한요소해석법(Finite Element Method)토목구조/구조역학 2025. 6. 3. 09:36
안녕하세요, 구조역학에 관심 있는 여러분! 빔의 처짐이나 평판의 응력을 계산해야 할 때, 전통적인 해석 방법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에 부딪힌 적이 있으신가요? 🤯 복잡한 형상, 하중 조건, 혹은 다양한 재료 특성 때문에 막막함을 느끼셨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걱정하지 마세요! 현대 엔지니어링의 필수 도구인 '유한요소해석법(Finite Element Method, FEM)'이 여러분의 고민을 해결해 드릴 것입니다. 이 글에서는 유한요소해석법이 무엇이며, 어떻게 복잡한 구조 문제를 해결하는 데 사용되는지 쉽고 명확하게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함께 이 강력한 해석 기법의 세계로 떠나볼까요? 🚀1. 유한요소해석법(FEM)이란 무엇인가요? 💡유한요소해석법은 복잡한 구조역학 문제를 계산적으로 풀어내는 강력..
-
보에 작용하는 응력,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토목구조/구조역학 2025. 6. 1. 15:00
"보는 하중을 받으면 어떻게 반응할까요? 구조물의 안전을 지키는 핵심, 응력의 비밀을 파헤쳐 보도록 하겠습니다." 건물이나 교량과 같은 구조물의 골격을 이루는 보(beam)는 다양한 하중을 받으며 거동합니다. 그런데, 겉으로 보기엔 아무 일도 없어 보이는 보 내부에서는 과연 어떤 힘(응력)이 작용하고 있을까요? 그리고 그 힘(응력)은 어떻게 계산할 수 있을까요?이 글에서는 외력에 의해 발생하는 보에 작용하는 응력, 특히 굽힘 응력과 전단 응력의 개념을 기초부터 차근차근 설명하고, 이를 설계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이해하기 쉽게 정리해 보겠습니다.구조 설계를 하시는 분들이라면 꼭 알아야 할 중요한 개념입니다!1. 하중이 보에 작용하면 생기는 일 보에 외력이 작용하면, 보는 단순히 휘는 것뿐만이 아니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