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 좌굴(Buckling)토목구조/구조역학 2025. 5. 30. 10:44
“기둥은 수직 하중만 잘 견디면 되는 거 아닌가요?”이 질문에 대한 대답은 놀랍게도 "그럴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입니다. 기둥은 압축 하중을 잘 견디는 것만으로는 부족하며, 오히려 작은 하중에서도 기둥이 휘어지는 현상, 즉 '좌굴(Buckling)'이 구조물의 파괴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 입니다.🙋♂️ 그렇다면, 좌굴은 왜 발생하며, 우리는 이를 어떻게 예측하고 설계에 반영할 수 있을까요?이번 글에서는 좌굴의 원리부터 오일러 공식, 좌굴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 그리고 국내 설계기준에서는 이를 어떻게 다루는지까지 체계적으로 정리해 보겠습니다.1. 좌굴이란 무엇인가?1.1 좌굴의 기본 개념압축 하중을 받는 부재가 재료 항복 이전에 형상이 변형되어 지지 능력을 상실하는 현상을 '좌굴(Buc..
-
💡응력변환과 모어원(Mohr's Circle) 완전정복!!!토목구조/구조역학 2025. 5. 28. 00:09
1. 궁금하지 않으셨나요? 왜 특정 면에서 파괴가 시작될까?토목 구조물이나 기계 부품이 파괴될 때, 그 원인은 단순히 하나의 힘이 너무 커서가 아닙니다. 같은 힘이 작용하더라도 어떤 면에서는 안전하고, 다른 면에서는 위험할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응력은 단순한 숫자가 아니라, 방향과 면에 따라 그 성질이 완전히 달라집니다. 그래서 우리는 단순한 힘이 아닌 ‘응력 상태’를 이해해야 하며, 이것이 바로 구조역학에서 ‘응력변환’과 ‘모어 원(Mohr’s Circle)’이 중요한 이유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응력변환 개념과 모어 원을 이해하기 쉽게, 그리고 실무에 직접 활용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 2. 응력 요소란 무엇인가요?2.1 한 점에서의 응력 상태구조물 ..
-
📌 응력(Stress)과 변형률(Strain)이란?토목구조/구조역학 2025. 5. 26. 18:41
우리가 일상에서 마주치는 교량, 터널, 건물 등 모든 구조물은 외부 하중을 받아도 쉽게 무너지지 않습니다.그렇다면 도대체 이 구조물들은 어떤 원리로 버틸 수 있을까요? 🤔바로 구조물 내부에서 발생하는 ‘응력(stress)’과 ‘변형률(strain)’이라는 개념을 이해하면 그 해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이 글에서는 단순한 금속 막대를 예로 들어, 응력과 변형률의 개념을 쉽게 그리고 깊이 있게 설명드리겠습니다.특히 토목구조물 설계나 해석을 하시는 분들에게도 필수적인 기본 개념이니, 꼭 끝까지 읽어보시길 권해드립니다. 😊1. 구조물 내부의 힘, '응력'이란? 🧱1.1 외부 힘에 대한 내부의 저항 – 응력의 개념 물체가 외부 하중을 받으면 그에 저항하는 내부 힘이 발생합니다.이 내부 힘은 단면 전체에 분..
-
🌉 다양한 종류의 교량은 어떻게 구분되나요?토목구조/토목구조물 2025. 5. 23. 16:14
혹시 매일 지나다니는 그 교량이 어떤 종류인지 궁금해본 적 있으신가요? 🤔 그냥 튼튼하기만 하면 된다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사실 교량은 생각 이외로 다양한 모습과 기능을 가지고 있답니다. 단순한 통로를 넘어, 그 지역의 지형과 문화, 그리고 경관까지 고려한 예술 작품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죠! 오늘은 지구 곳곳에 자리한 놀라운 교량들의 세계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교량이 어떻게 거대한 힘을 견디고, 어떤 원리로 만들어지는지 함께 알아볼까요?🏗️ 가장 기본적인 다리 : 보, 거더(Beam, Girder) 교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다리 중 하나는 바로 거더교입니다. 두 지지대 위에 수평 부재를 얹어 놓은 단순한 형태인데요. 흔히 고가도로에서 볼 수 있는 콘크리트 거더나 강재 빔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
🔎콘크리트, 왜 보강이 필요할까요?토목구조/철근 콘크리트(RC) 2025. 5. 22. 15:54
겉보기엔 단단한 그 재료, 사실은 허점투성이일지도 모릅니다...토목이나 건축 현장에서 가장 흔하게 쓰이는 재료, 바로 콘크리트입니다. 무겁고, 단단하고, 견고해 보이지만… 과연 콘크리트는 혼자서 모든 하중에 잘 버틸 수 있을까요? 실제로 콘크리트만으로는 구조물 설계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이번 글에서는 구조재료로서 콘크리트가 갖는 본질적인 약점, 그리고 이를 보완하기 위한 보강재(철근)의 필요성과 원리를 설명드리겠습니다. ✍️ 👀 콘크리트의 약점, 그 이름은 '인장력' 콘크리트는 압축에는 매우 강한 반면, 인장에는 매우 약한 재료입니다. 📉압축력(compression) : 서로 밀어붙이는 힘인장력(tension) : 양쪽으로 당기는 힘전단력(shear) : 면을 따라 미끄러지는 힘이..